❰파이썬 자료형 숫자형을 활용하기 위한 연산자❱
-숫자형을 활용한 기본 연산을 해봅시다!
① 사칙연산(+,-,*,/)
수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칙연산입니다.
+는 덧셈, -는 뺄셈, 곱셈 * (컴퓨터에서의 곱셈은*, 일반수학표기법 x), 나눗셈/ ( 컴퓨터에서의 나눗셈은/, 일반수학표기법 ÷)입니다.
a와 b 라는 변수에 3, 4를 저장해 줍니다.
그 후 print출력문을 활용하여
a+b, a-b, a*b, a/b의 값을 출력합니다.
②x의 y제곱을 나타내는 연산자 (거듭제곱 **)
**연산자는 거듭제곱(지수 연산)을 나타냅니다
x**y처럼 사용했을 때 x의 y제곱( xy)값을 리턴합니다.
a와 b라는 변수에 3, 4를 저장해줍니다.
그리고 print출력문을 활용해 (a**b)를 거듭제곱해주면은
3**4( 3⁴ )의 3의4제곱인 81을 반환하여 줍니다.
③나눗셈 후 나머지를 리턴하는 연산자(%)
프로그래밍에서 나눗셈(/)을 하면 보통 몫만 나오거나 실수형으로 떨어지는데,
나눗셈을 하고 남는 나머지 값을 알고 싶을 때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a와 b 라는 변수에 3, 4를 저장해 줍니다.
그리고 print 출력문을 활용해
a/b, a%b의 값을 출력하여 몫과 나머지 값을 확인 합니다.
④나눗셈 후 몫을 리턴하는 연산자(//)
나눗셈 후 몫을 리턴하는 건 /연산자가 있는데 왜 다시 배우냐고 생각하시분들도 있을겁니다.
/연산자는 실수형으로 값이 나타나는거지 정수형으로 값을 나타내는건 아닙니다.
그래서 //연산자를 사용하여 정수형으로 몫의 값을 구하는 겁니다.
a와 b라는 변수에 7, 4를 저장해 줍니다.
그리고 print출력문을 활용하여
a/b, a//b의 값을 출력하여 실수형식의 몫과 정수형식의 몫의 값을 구해줍니다.
⑤복소수 형을 사용한 간단한 계산(덧셈, 뺄셈)
간단하게 복소수를 사용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너무 자세하게 하면은 복잡해 질 수 있으니까 가장 쉽게 갈 수 있는 덧셈, 뺄셈, 곱셈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아래 예제를 보고 실습해보시면 되겠으며
복소수의 계산에 대한 정확한 방법은 해당 링크를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링크 : https://hj-studynote.tistory.com/12 )
자료형 숫자형을 활용한 연산자를 배우면서 실습하신다고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
📘 참고:
《Do it! 점프 투 파이썬 (전면 개정 2판)》, 박응용 저, 이지스퍼블리싱, 2023
※ 본 글은 위 교재의 내용을 학습 및 정리 목적으로 요약/재구성한 글입니다.
'Python(파이썬)_점프 투 파이썬 > 파이썬 기초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스트 자료형(List Datatype) (2) | 2025.08.06 |
---|---|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문자열 활용) (6) | 2025.08.06 |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따옴표 및 이스케이프 활용) (2) | 2025.07.27 |
파이썬의 문자열 자료형(정의, 특징) (2) | 2025.07.25 |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숫자형) (1) | 202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