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둘러보기❱
-본격적인 파이썬 학습을 시작하기 전 간단한 소스코드를 작성하면서 파이썬에 대해 훑어보겠습니다.
▶파이썬 기초 실습 준비하기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실습하기 전에 기초적인 것을 준비해보겠습니다.
➵Windows에서 실습준비하기
①먼저[시작]메뉴에서 'Python 3.xx(64-bit)'을 찾아 실행합니다
✔Python 3.xx(64-bit)
3.xx의 xx는 본인의 컴퓨터에 있는 파이썬의 버전입니다. 저는 3.13이기 때문에 3.13을 실행시킵니다.
②파일을 실행하면은 다음 화면이 나타나며 기초적인 실습 준비가 완료됩니다
✔위와 같은 창을 '파이썬 대화형 인터프리터' 라고 부릅니다.
✔인터프리터란?
사용자가 입력한 소스코드를 실행하는 환경
즉,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코드를 한 줄씩 읽어 기계어로 번역하고 즉시 실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환경을 말합니다.
컴파일러처럼 전체 코드를 한 번에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한 줄씩 실행하면서 번역하기 때문에 실행속도는 컴파일 언어에 비해 느릴 수 있습니다. 종류는 Python, JavaScript, Ruby등이 대표적 입니다.
왜, 파이썬 대화형 인터프리터인지에 대한 설명은 해당 문서를 작성하면서 이어가겠습니다.
추가적으로,
✔>>>
프롬프트(prompt)라고 부르며 프롬프트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텍스트 입력 명령을 의미합니다.
➵macOS에서 실습 준비하기
①터미널을 실행시켜 Python3를 입력해줍니다.
②입력 후에 파이썬의 버전과 빌드정보가 뜨면서 windows와 마찬가지로 기초적인 실습준비가 완료됩니다
추가적으로 파이썬을 종료하실 때는
Ctrl+Z를 누르시고 엔터를 누르시던지, Ctrl+D(유닉스계열), 또는 내장함수인 quit(), exit(), 마지막으로 import sys를 입력하시고 sys.exit를 입력하시면 되겠습니다.
이것으로, Windows와 macOS를 활용한 파이썬의 기초적인 실습 준비는 마치겠습니다.
▶파이썬 기초 문법 따라해보기
이제 파이썬의 대화형 인터프리터(파이썬 셸)를 실행하여 파이썬 기초 문법을 따라해보겠습니다.
지금 당장 문법을 이해 하실 필요는 없으며 추후 다룰 내용들은 훑어보고 가는거여서,
그냥 이런 문법이 있구나라는 걸 알고 가시면 되겠습니다.
①사칙연산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를 이용하여 값을 출력해보겠습니다.
위 출력 결과를 보시면
덧셈, 뺄셈의 기호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산술연산자의 기호와 동일하지만 ×, ÷기호는 없는 걸 확인하실 수 있고 나눗셈은 /, 곱셈은 *를 사용하시는 걸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 프로그래밍에서는 ×,÷대신 ASCII 문자 기반의*,/기호를 사용하며, 이는 컴퓨터가 기본적으로 인식 가능한 연산자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②변수에 숫자 대입하고 계산하기
a에 1, b에 2라는 값을 저장한 후 +연산자를 이용해 a+b를 더하면 3이라는 결과 값을 보여 줍니다.
③변수에 문자 대입하고 출력하기
a라는 변수에 "Python"이라는 문자를 가진 값을 저장 후 a를 입력하면 a에 저장된 값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는, print라는 출력문을 활용하여 print(a)를 입력하면 a의 값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주의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분할 수 있기때문에 print를 PRINT와 같은 대문자로 쓰지 않게 주의 해야합니다.
알파벳 'a','A'와 같은 대소문자 구분도 주의 해주시기 바랍니다.
④조건문if
if조건문을 이용한 간단한 조건을 하나 생성 하겠습니다.
먼저 a라는 변수에 3이라는 값을 저장합니다.
if만약이라는 조건을 만들어 줍니다.
(if a>1 :)만약(a<1) a가보다1 크다면 (print("a는 1보다 큽니다")) 'a는 1보다 큽니다'를 출력 해주라는 명령을 합니다.
a가 1보다 크기때문에 조건을 만족하여 'a는 1보다 큽니다'를 출력합니다.
✔>>>(프롬프트)자리를 대신해서 . . .이 나타나는데 이 문장의 의미는 아직 입력 중인 문장이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추가적으로 예제 속 표시한 ✓ , ▭부분에 대한 설명 입니다.
✔ :(콜론)
조건문(또는 반복문)의 본문(실행 블록)이 시작됨을 명확히 알려주는 기호입니다.
동시에, 파이썬은:다음 줄에서 들여쓰기를 강제함으로써 블록 구조를 문법적으로 표현합니다.
:가 없으면 문법 오류(SyntaxError)가 발생합니다.
즉, “블록이 시작될 것”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파이썬의 약속입니다.
✔▭가 표시되어 있는 부분은 들여쓰기 부분입니다. 들여쓰기 규칙은 추후 설명을 할 것이므로 따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의 부분의 print 문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4칸을 들여쓰기 해야 문장이 출력 된다는 걸 명시하십시요.
(tap또는 spacebar로 4칸 들여쓰기)
⑤반복문for
반복문인 for을 사용하여 간단한 예제를 실행 하겠습니다.
(for)반복하겠다고 선언 후 (a)변수 a를 선언하고 (in) a안에 ([1,2,3])1,2,3이라는 숫자를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저장 후 (print) a를 출력한다라는 명령을 합니다.
여기서도 주의 할 점은 들여쓰기입니다.
⑥반복문While
반복문 while을 사용한 간단한 예제를 실행하겠습니다.
while이라는 영어 단어의 뜻인 '~인 동안'에서 알 수 있는 일정조건이 만족하는 동안 반복해서 수행한다는 의미 입니다.
(i=0)i라는 변수에 0을 저장합니다. (while i<3 :)i가 3보다 작을(while)동안 i를 반복하겠다고 하고 i의 값이 커질 수 있도록
(i=i+1)i변수에 i+1을 저장해줍니다. 그 후 (print(i)) i를 출력하라는 명령을 합니다.
✔ i에 0이 저장되있을텐데 i=i+1이 어떻게 다시 저장되는지 의구심을 표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 C나 java를 배워보신 분이면 후위 증감의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i=i(0)+1을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이미 선언된 변수를 다시 사용한다는 의미가 아닌 i라는 변수의 값을 업데이트 한다는 의미로 이해 하시면 됩니다.
조금 더 쉽게 말하면 i에 0이 저장 되어 있는데 3보다 커지기 위해 i에 저장되있는 0에 1을 더 하겠다 라는 의미 입니다.
➆함수
파이썬의 함수에 관한 예제입니다.
def는 정의한다라는 뜻을 가진 define의 약어입니다.
def는 의미 그대로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예약어입니다.
(def add)add라는 함수를(def)정의합니다 add함수 안에는 (a,b)a,b라는 변수가 선언되어 있습니다.
(return a+b)a,b가 선언되어 변수로써 입력값을 받고 입력되게 되면은 결과값인 a+b로 값을 반환해주겠다고 선언합니다.
(add(3,4))add함수를 선언하고a에 3의 값을 b에 4의 값을 저장합니다. a,b가 선언되면 값을 결과값으로 반환해주겠다고 한 return으로 a,b의 저장된 값이 반환하여서 최종적으로 결과값 7을 출력합니다.
✔ 예약어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미 문법적인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단어를 말합니다.
✔ return?
리턴은 함수에서 값을 반환할 때 사용 됩니다.
마지막으로, 대화형 인터프리터는 여태까지 했던 입력에 따라 결과값이 출력되어 마치 번갈아 이어지는 것이 대화를 하는 것 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대화형 인터프리터 간단히 말해 파이썬 셸(python shell)이라고도 부릅니다.
😌지금까지, 파이썬의 기초 문법에 대해 훑어보았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참고:
《Do it! 점프 투 파이썬 (전면 개정 2판)》, 박응용 저, 이지스퍼블리싱, 2023
※ 본 글은 위 교재의 내용을 학습 및 정리 목적으로 요약/재구성한 글입니다.
'Python(파이썬)_점프 투 파이썬 > 파이썬의 의미 및 설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Code(vscode)를 이용한 Python 실행법 (0) | 2025.07.16 |
---|---|
파이썬과 에디터 (5) | 2025.07.15 |
파이썬 설치하기(MacOS) (0) | 2025.07.13 |
파이썬 설치하기(Windows) (0) | 2025.07.13 |
파이썬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 | 202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