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0

리스트 자료형(List Datatype)

❰리스트 자료형❱-리스트 자료형에 대해 배워봅시다.⌘리스트의 파이썬의 기본 자료형이기도 하며 또한 동시에 데이터를 순처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 이기도 합니다.그래서, 리스트 자료형(자료구조)라고도 합니다.자료 구조적 관점도 있지만 추후 정리해보겠습니다. 지금은 자료형에서의 관점으로 정리하겠습니다. ▶리스트 자료형이란?리스트 자료형은 여러 개의 값을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구조를 의미합니다.쉽게 말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숫자, 문자열, 다른 리스트 등)를 하나의 변수 안에 담아 관리할 수 있는 '목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의 숫자가 있는데 이 중 짝수와 홀수의 수의 모음을 따로 지정하고 싶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럴 때 바로 리스트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래 예제..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문자열 활용)

❰문자열의 활용❱-문자열 연산 및 다양한 함수에 대해 배워봅시다. ▶문자열 연산이란?문자열 연산이란 문자열을 결합하거나 반복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파이썬에서는 더하기(+) 연산자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연결하고, 곱하기(*) 연산자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위치의 문자를 가져오는 인덱싱,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len() 함수, 부분 문자열을 추출하는 슬라이싱 등 다양한 연산 및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➀문자열 더해서 연결하기덧셈(+) 연산자를 활용하여 문자열을 연결해보겠습니다.간단한 문구를 합치거나, 변수에 있는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과 합치거나, 여러조각의 정보를 모아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 때 사용합니다. str1과 str2라는 변수에 각 "안녕"과 "하..

고정소수점과 부동소수점, 정규화,비정규화

❰고정소수점과 부동소수점, 오버플로와 스케일 팩터❱-고정 소수점과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에 대해 알아보며 부동소수점에서의 정규화와 비정규화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 고정소수점이란?고정소수점은 실수(소수 포함)위치가 미리 고정된 수의 표현 방식입니다. 즉,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의 자릿수를 미리 정해놓고 해당 자릿수 내에서만 값을 표현합니다. 16비트 고정 소수점 표현 방식에서 8비트를 정수 부분, 8비트를 소수 부분으로 할당하는 경우, 정수 부분은 -128부터 127까지 표현 가능하며, 소수 부분은 1/256 단위로 표현 가능합니다.부동소수점보다 연산 속도는 빠르지만 표현 범위는 좁고, 오버플로에 민감합니다.조금 더 쉽게 말하자면, 실수의 소수점은 '코드나 설계자가 고정'을 하며 실수..

스케일 팩터(scale factor)와 오버플로(overflow)

❰오버플로우와 스케일 팩터❱-오버플로우와 스케일 팩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케일팩터란? 여기서, 설명하는 스케일 팩터(scale factor) 란 고정소수점에서만 사용되는 개념으로 실수를 정수로 표현하기 위해 곱하는 기준 값이며, 이 값이 클수록 더 높은 정밀도로 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스케일 팩터가 커질수록 정수값이 빠르게 커지기 때문에,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는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할 위험도 그만큼 커집니다. 따라서, 고정소수점 시스템에서는 정밀도와 오버플로우 사이의 균형이 매우 중요합니다스케일 팩터의미정밀도 단위소수부 비트 수설명사용 예2⁴ = 16낮은 정밀도1/16 ≈ 0.06254비트정밀도보다속도 우선빠른 계산,단순 센서2⁶ = 64보통1/64 ≈ 0..

비트단위 와 용량

❰비트 단위와 용량❱- 비트의 단위와 용량에 대해 배워봅시다 ▶비트 단위(Bit Unit)란?컴퓨터가 정보를 표현하고 저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말합니다.비트(Bit)는 Binary Digit(이진수 숫자)의 줄임말이며, 컴퓨터가 이해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입니다.비트는 딱 두 가지 상태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상태는 보통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0 (꺼짐 / False / 저전압), 1 (켜짐 / True / 고전압)비유를 들 물리적으로는 전기의 흐름이 있거나 없거나, 전압이 높거나 낮거나 하는 전기신호의 방식으로 표현됩니다. 마치 전등 스위치가 '켜짐' 또는 '꺼짐' 두 가지 상태만을 가지는 것과 같습니다.그리고 이 작은 비트를 여러개 묶어 더 큰 단위를 만드는 것이 비트 단위 입니다..

비트연산(bitwise operation)과 비트 마스킹(bit Masking)

❰비트연산❱-비트연산(bitwise operation), 비트 마스킹(bit Masking)에 대해 배워봅시다. ▶비트연산이란?한 개 혹은 두 개의 이진수에 대해 비트 단위로 적용되는 연산을 의미 합니다.이진수는0과 1로 이루어진 수를 의미합니다.그리고,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0과1로 이루어진 이진수 형태로 표현하고 처리합니다.또한, 0과 1은 이진수면서 비트(bit)이기도 합니다.비트는 컴퓨터의 가장 작은 단위이며 컴퓨터는 이 비트단위를 전등의 스위치처럼 이용합니다.0이라는 수는 전등이 꺼져있는 상태, 1이라는 수는 전등이 켜져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정확히 설명하면 디지털회로에서 트랜지스터를 통한 ON/OFF상태를 의미합니다.그리고 이 가장 작은 단위이자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비교하는 걸 ..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따옴표 및 이스케이프 활용)

❰문자열의 활용❱-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이스케이프 코드 활용법에 대해 배워 봅시다. ①큰따옴표, 작은 따옴표 활용하여 문자열 만들기파이썬에서 문자열(String)을 만들 때는 큰 따옴표(" ")또는작은 따옴표(' ')를 사용합니다.둘 다 문자열을 만드는 데 똑같이 사용될 수 있지만, 각각의 경우에 따라 더 편리한 상황이 있습니다.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로 양쪽 둘러 쌓기(가장 기본적 사용법)message1, message2라는 변수를 만들어 줍니다.변수에 각각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여"Hello, python", 'Hello, python'이라는 문자열을 저장하여 줍시다.그 후에 print문을 활용하여 출력을 하게 되면 두 따옴표가 동일하게Hello, python을 출력하시는 결과를 ..

파이썬의 문자열 자료형(정의, 특징)

❰파이썬의 문자열 자료형❱-문자열 자료형(String data type)에 대해 알아봅시다.(정의와 특징) ▶문자열 자료형이란?문자열(String)이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집합을 말합니다.문자열 자료형(String data type)은 텍스트 데이터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a""123"'456''안녕하세요'예를 들면 위의 예문이 존재하는데 각 예문에 시작과 끝에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 사용하였습니다.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는 문자열을 정의할 때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기능적 차이는 없습니다.단, 문자열 안에 따옴표 기호가 포함될 경우 구분을 위해 서로 다른 따옴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예를 들어 'Py..

파이썬 숫자형을 활용한 연산자

❰파이썬 자료형 숫자형을 활용하기 위한 연산자❱-숫자형을 활용한 기본 연산을 해봅시다! ① 사칙연산(+,-,*,/)수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칙연산입니다. +는 덧셈, -는 뺄셈, 곱셈 * (컴퓨터에서의 곱셈은*, 일반수학표기법 x), 나눗셈/ ( 컴퓨터에서의 나눗셈은/, 일반수학표기법 ÷)입니다. a와 b 라는 변수에 3, 4를 저장해 줍니다.그 후 print출력문을 활용하여a+b, a-b, a*b, a/b의 값을 출력합니다. ②x의 y제곱을 나타내는 연산자 (거듭제곱 **)**연산자는 거듭제곱(지수 연산)을 나타냅니다 x**y처럼 사용했을 때 x의 y제곱( xy)값을 리턴합니다. a와 b라는 변수에 3, 4를 저장해줍니다.그리고 print출력문을 활용해 (a**b)를 거듭제곱해주면은 3**4( 3⁴..

복소수

❰복소수❱-복소수의 계산법과 복소수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복소수란 실수(real number) 와 허수(imaginary number)를 합친 수를 의미합니다.수학적으로는 a + bi 라는 형태이며, 파이썬에서는 a + bj로 표현합니다.여기서 b는 허수의 계수(숫자)이고, j √-1 을의미합니다.✔실수 : 실제 존재하는 수✔허수 : √-1처럼 제곱하면 음수가 되는 수. 현실에선 없지만 수학 계산의 확장을 위해 등장✔허수를 파이썬에서 j로 표기하는 이유는 전공학계열에서 i는 전류로 쓰기 때문에, 혼동을 피하려고 정해진 약속입니다.✔√-1 : j허수를 뜻하며 수학적으로는 √-1을 의미하며 수학에선 어떤 수를 제곱해도 음수가 안되고 계산이 되지않으니까 √-1을 하나의 기호 i로 지정한겁니다(파이썬에서는j)..

파이썬(수학) 2025.07.23
반응형